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

경제학에서의 가격차별화 정의, 사례, 종류 및 장점과 단점 오늘은 경제학에서의 가격차별화의 정의와 종류 그리고 가격차별화의 장점 및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격차별화란? 먼저 경제학에서 가격차별화는 동일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지리적, 시각적으로 서로 다른 시장에서 각기 다른 가격을 매기는 일을 뜻하며 이렇게 하여 설정된 가격을 차별가격이라고 부릅니다. 동일한 상품에 별개의 가격이 매겨지는 경제적인 이유는 뚜렷이 구별할 수 있는 몇몇 시장에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업은 다양한 소비자 그룹에 대해 다른 가격을 부과하여 소비자들로부터 가능한 많은 이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격탄력성, 즉 가격민감도가 상대적으로 큰 시장에서는 낮은 가격이, 탄력성이 보다 적은 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이 설정됩니다. 가격차별.. 2023. 4. 21.
고전경제학의 정의와 역사적 기원, 국제 무역과 가치이론 (아담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존 스튜어트 밀) 경제학은 시기에 따라 여러 학파로 나누어집니다. 오늘은 고전주의 경제학, 고전 경제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전 경제학이란? 고전 경제학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주로 영국에서 번성한 정치경제학의 한 학파입니다. 이 학파의 주요 사상가는 아담 스미스, 장 바티스트 세이, 데이비드 리카르도, 토마스 로버트 말서스, 존 스튜어트 밀 등이 있습니다. 이들 경제학자들은 시장 경제를 자연적인 생산과 교환의 법칙에 의한 자율 규제 시스템으로 보았으며 이는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비유로 잘 설명됩니다. 1776년 출간된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이 고전 경제학의 시작으로 여겨집니다. 이 책에서 스미스는 한 나라의 부는 군주의 금고에 있는 금이 아니라 그 나라의 국민 소득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습니다.. 2023. 4. 20.
자산의 종류와 특징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당좌자산, 재고자산,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회계에서 말하는 자산이란 뭘까요? 자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산은 재산과 유사하지만 회계에서는 조금 더 넓은 의미를 가집니다. 자산은 회사가 과거의 거래 결과 취득한 것으로서 통제할 수 있는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말합니다.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누어지고 유동자산은 다시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비유동자산은 투자자산과 유형자산, 무형자산 및 기타비유동자산으로 나누어집니다. 유동자산 유동자산이란 기업이 1년 또는 정상적인 영업주기 이내에 현금화될 수 있는 자산으로, 주로 단기적인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자산입니다. 1. 당좌자산 유동자산에서 재고자산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을 당좌자산(quick assets)이라고 부르며, 당좌자산에는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유가증권, 매.. 2023. 4. 20.
각 재무제표의 종류와 특징, 의미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재무제표는 회사의 재무상태를 보여주는 문서입니다. 일반적으로 회계기록을 요약하고 분류하여 재무상태, 수익성, 현금흐름 등을 나타냅니다. 회사는 회계연도마다 주기적으로 재무제표를 만들어 이를 외부에 공개하면 이해관계자들은 그 재무제표를 보고 그 회사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얻게 됩니다. 재무제표에는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등이 있습니다. 각 재무제표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대차대조표 대차대조표는 회사의 자산과 부채, 그리고 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제표 중 하나로 재무제표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문서입니다. 대차란 왼쪽, 오른쪽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왼쪽이 차를, 오른쪽이 대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대차대조표의 오른쪽에는 회사운영에 필요.. 2023.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