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제로슈거 제품의 인기가 굉장히 많아짐에 따라 탄산음료 뿐만 아니라 각종 음료수, 소주에서까지 제로슈거 제품을 찾아볼 수가 있습니다.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설탕이 없는 제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진 결과일텐데요, 경제와 연결지어 봤을 때도 요즘 설탕 가격이 치솟아 설탕을 줄이는 것이 여러모로 좋아보이는 상황입니다.
세계 설탕 가격의 고공행진
이번 달 들어 형성된 국제 설탕 가격이 12년 만에 최고 수준이고 상승세는 계속해서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22일 영국 런던 국제금융선물거래소에서 거래하는 백설탕 선물가격은 톤 당 676.3달러로 마감했는데 지난 12일에는 톤당 702달러까지 기록하는 등 연일 고공행진 중입니다. 설탕 가격이 넉 달 새 30%가 폭등한 것입니다. 지난달 곡물과 유제품 등 가격이 모두 하락한 것에 반해 설탕 가격만 오름세입니다.
설탕 가격 왜 오르는 걸까요? 슈거플레이션 요인?
설탕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주요 산지의 생산량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은 인도인데요, 이상고온과 폭우 등의 기후변화로 생산량이 급감하자 자국의 수요를 맞추기 위해 2년째 설탕 수출량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인도 외에도 태국, 중국도 마찬가지 이유로 설탕 생산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설탕 원료인 사탕수수를 에탄올 생산으로 돌리는 경우도 늘었고, 유럽의 특정 살충제 사용을 금지한 영향으로 설탕 수확이 주는 등 슈거플레이션의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슈거 플레이션 뜻? 슈거플레이션이란?
슈거플레이션이란 설탕(Sugar)+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입니다. 이렇게 세계 설탕 가격이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설탕이 들어가는 빵, 과자, 아이스크림, 음료 등 가공식품의 가격이 치솟는 이른바 '슈거플레이션(설탕+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의 식료품 가게에선 이미 설탕 가격 상승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설탕 가격이 당분간 식품 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식품 제조사들은 제당 회사와 미리 가격 협상을 하기 때문에 원가의 변화가 당장 제품 가격에 반영이 되지는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부담이 늘어나면서 식품 가격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식품 업체들의 원재료 값이 오르면 가격 인상이 예상되어 주가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기 마련인데요, 이미 몇 년 사이에 원재자 가격이 크게 올라 대부분 가격 인상을 했기 때문에 주가에 어떻게 반영이 될지 예측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건강을 생각했을 때도, 앞으로의 경제 전망을 생각했을 때도 제로 슈거 제품을 확대하고 있는 식품회사들을 눈여겨 보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 입문 도서 추천 - 경제학 콘서트 (저자소개, 책 요약, 추천이유) (0) | 2023.04.25 |
---|---|
케인즈주의, 케인즈 경제학의 이해, 정의, 원리, 응용 (0) | 2023.04.25 |
경제학의 정보의 비대칭과 사례(레몬이론, 시그널링, 스크리닝) (0) | 2023.04.24 |
경제학에서의 가격차별화 정의, 사례, 종류 및 장점과 단점 (0) | 2023.04.21 |
고전경제학의 정의와 역사적 기원, 국제 무역과 가치이론 (아담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존 스튜어트 밀) (0) | 2023.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