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불완전경쟁시장 종류(순수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와 시장지배력 5가지 요인

by 아임해P 2023. 4. 20.

이번 글에서는 불완전경쟁시장의 종류와 불완전경쟁기업이 존재하는 시장이 완전경쟁시장과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불완전경쟁시장의 종류

1. 순수 독점시장

먼저 완전경쟁시장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시장은 한 기업이 유일한 생산자인 순수 독점시장(pure monopoly)입니다. 순수 독점기업은 pure monopolist라고 부릅니다.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의 양 극단 사이에는 다양한 형태의 불완전경쟁시장이 존재하는데요, 그 중 독점적 경쟁시장과 과점시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독점적 경쟁시장

독점적 경쟁시장(monopolistic competition)은 많은 기업들이 유사하지만 대체성이 완전하지 않은, 즉 어느 정도는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여러 기업들의 제품은 많은 면에서 매우 유사하지만 어떤 소비자들의 눈에는 서로 차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진입과 퇴출에 심각한 장벽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완전경쟁시장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사례로는 주유소가 있습니다.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휘발유는 거의 동일하지만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많은 소비자에게 다른 특성으로 작용합니다. 비슷한 예로는 편의점도 있습니다.

 

완전경쟁기업이 미미하더라도 현재 시장가격보다 가격을 높게 책정하면 해당 기업은 제품을 판매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독점적 경쟁기업은 경쟁기업의 제품과 완전한 대체재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경쟁기업보다 약간 높게 가격을 책정하더라도 모든 소비자를 빼앗기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기업들이 언제든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점적 경쟁시장과 완전경쟁시장은 본질적으로 동일합니다. 한정된 소비자 풀 안에서 경쟁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업이 진입할 경우 가격 하락의 압력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경제적 이윤이 존재하는 한 계속해서 새로운 기업이 진입하고 가격은 계속 하락합니다. 반대로 독점적 경쟁기업들이 손실을 입을 경우 기업의 퇴출이 계속되고 가격은 상승하기 때문에 장기 균형 관점에서 독점적 경쟁기업은 완전경쟁시장의 기업들과 본질이 같습니다. 따라서 독점적 경쟁시장의 기업들의 가장 중요한 전략적 결정은 가격이 아니라 본인들의 제품을 타 경쟁기업의 제품과 어떻게 차별화시킬 것인가 입니다.

 

3. 과점시장

과점시장은 완전경쟁시장과 순수 독점시장 사이에 소수의 대기업이 비슷하거나 혹은 완전한 대체재를 생산하는 시장구조입니다. 이동통신 서비스와 같이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을 생산하는 과점기업들의 가장 중요한 전략적 결정은 제품의 차별되는 특성을 개발하는 것보다는 가격 결정과 광고를 어떻게 할 것인가 입니다. 자동차, 담배 같은 시장의 경우 과점기업들은 제품의 차이가 소비자 수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독점기업보다는 독점적 경쟁기업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을 생산하는 과점기업과 마찬가지로 제품의 차별성이 중요한 과점시장에서도 가격 결정과 광고가 중요한 전략으로 작용하지만 제품의 특성도 매우 중요한 전략적 결정 사항입니다.

 

위 내용을 요약하자면 독점적 경쟁시장은 소규모의 많은 기업들이 비슷한 제품들을 생산하지만 적어도 몇몇 소비자에게는 완전한 대체재가 아닌 제품을 생산하는 구조입니다.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로 경제적 이윤이 장기에서 0이 된다는 점에서 완전경쟁시장과 동일합니다. 과점시장은 소수의 대규모 기업이 전체 시장의 수요량을 생산하는 시장구조입니다. 대규모 생산에서 기인하는 비용상의 우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과점기업은 표준화된 동일한 재화 또는 차별화된 재화를 생산합니다.

 


다음은 완전경쟁기업과 불완전경쟁기업 간의 본질적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완전경쟁기업과 불완전경쟁기업의 차이

완전경쟁기업은 완전 탄력적인 수요곡선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불완전 경쟁기업은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완전경쟁시장에서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시장 균형가격이 결정됩니다. 이 가격에서 완전경쟁기업은 원하는 만큼을 팔 수 있고, 시장 가격보다 높게 책정할 경우 전혀 판매를 할 수 없고, 시장 가격에서 원하는 만큼 팔 수 있기 때문에 더 낮게 책정할 이유도 없습니다. 따라서 완전경쟁기업의 수요곡선은 시장가격에서 수평선이 됩니다.

 

반면에 불완전경쟁기업인 동네 주유소가 경쟁기업보다 더 비싸게 가격을 책정하면 일부 소비자들은 다른 주유소를 찾아갈 것입니다. 하지만 또 어떤 소비자들은 가장 편리한 곳에 위치한 주유소를 이용하기 위해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으므로 계속해서 해당 주유소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불완전경쟁기업이 직면하는 수유곡선은 우하향합니다.

 

이러한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을 가진 기업들은 시장지배력(market power), 즉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고 말합니다. 시장지배력을 가진 기업이더라도 원하는 가격에 원하는 양만큼 팔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지배력을 가진 기업은 수요곡선상의 가격-수량 조합만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시장 지배력을 가질 수 있는 다섯 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장지배력을 가질 수 있는 5가지 요인

-       핵심생산요소의 배타적 지배

-       특허와 저작권

-       정부의 인허가권 또는 프랜차이즈

-       규모의 경제와 자연독점(규모의 경제 때문에 발생하는 독점)

-       네트워크 외부성

 

*본 내용은 버냉키, 프랭크 경제학 제6판을 기반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